메뉴 건너띄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왼쪽메뉴 바로가기 메인 본문 바로가기

목포상공회의소

업계동향

공지사항 상세보기
제목 "사회공헌, 국가경제 기여"... 기업평가 '긍정적' 전환
작성자 박희영 작성일 2023.03.14

국내 기업에 대한 국민 호감도가 10년전과 비교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 대해 국민들의 평가가 부정적에서 긍정적으로 바뀌었다.

 

대한상공회의소 제50주년 '상공의 날'(3월 15일)'을 맞아 전국 20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전행한 기업대한 국민 호감도 조사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기업호감지수는 55.9점으로 10년전(48.6점)보다 7.3점이 향상됐다.  이는 조사를 시작한 2003년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기업호감지수란 국민들이 기업에 대해 호의적으로 느끼는 정도를 지수화한 것이다.

 

ESG 경영 실천도 23.7점에서 36.5점으로 12.8점 상승했다.  생산성, 기술향산(61.7 → 73.3점), 국가경제 기여(51.2점→58.6점)는 각각 11.6점, 7.4점씩 오른 거승로 나타났다.


다만 국제경쟁력은 74.8점에서 73.9점으로 소폭 하락했다.


기업에 호감이 가는 이유로는 절반 이상이 '국가경제 기여'(55.4%)를 꼽았다.  이어 일자리 창출(29.4%), 소비자 만족 증진(10.2%), 사회공헌 등 사회적 책임 수행(2.8%), 준법/윤리경영(2.2%) 등 순이었다.


기업에 호감이 가지 않은 이유로는 '준법/윤리경영 미흡'(64.3%)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이어 일자리 창출 노력 부족(13.5%), 소비자 만족 미흡(10.3%), 사회적 공헌 미흡(5.6%), 국가경제 기여 미진(4.8%) 등을 꼽았다.


기업 또는 기업인에 대한 인상이 주로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해서는 '신문/방송 보도' (47.6%)를 경로로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기업에 직접 근무하거나 근무하는 사람을 통한 직/간접 경험(31.5%), 드라마/영화 등에서 그려지는 기업상(7.2%), 정치권/시민단체의 발언(5.3%), 기업인의 SNS 활동을 통해 보이는 이미지(4.5%) 등이 뒤를 이었다.


국내 기업인들의 기업가정신이 10년 전보다 향상됐다는 응답 비율은 27.1%였고, 낮아졌다거나 비슷하다는 응답 비율은 각각 23.6%, 49.3% 였다.


기업가정신이 높아졌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한국기업의 세계무대에서의 활약'(42.8%)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기업에 바라는 점(복수응답)으로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59.1%)을 선택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이어 근로자 후생복지 향산(46.4%), 신제품 개발, 서비스 개선 등 고객 만족(39.4%), 환경/지역사회 문제해결(34.8%) 등의 순이었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기업에 호감이 가지 않는 이유로 사회적 공헌이 부족하다고 답변한 비율이 10년전 22.5%에서 5.6%로 크게 줄었다"며 "기업의 꾸준한 사회공헌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전남매일 18면 2023. 3. 14(화)  이연수 기자

이전글, 다음글
제22대 목포수협 김청용 조합장 무투표 당선
"사회공헌, 국가경제 기여"... 기업평가 '긍정적' 전환
글로벌 경기침체에 K푸드 수출 '주춤'

목포상공회의소

(우)58754 전라남도 목포시 해안로173번길 29 (중동2가)

Copyright (c) 2017 mokpocci,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