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31일 “재생에너지 잠재량이 풍부하고 전력망 구축이 시급한 전남권을 차세대 전력망 혁신기지로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갖고 “제6차 수석보좌관회의에서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방안이 논의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실장은 “(전력을) 지역에서 생산하고 지역에서 소비하도록 소규모 전력망을 전국에 만들어 송전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분산에너지 전력망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전남지역 철강, 석화 산단을 재생에너지 마이크로 단지로 조성하고 자원을 집중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남 대학 캠퍼스, 스마트팜, 군부대 등에 그리드를 구축하고 다방면으로 연결해 인공지능 재생에너지 기반 차세대 전력망을 구축하는 시범사업을 진행하겠다”고 부연했다.
마이크로 그리드는 작은 지역에서 재생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고, 남으면 저장하고 모자라면 저장한 전기를 사용해 에너지를 효율화하는 최신 기술의 작은 전력망이다.
작은 전력망들을 전국에 만들어 그물처럼 연결하는 것이 미래형 전력 체계로 꼽힌다.
김 실장은 “한국에너지공대, 전남대, 광주과기원 중심으로 한국판 실리콘밸리가 될 수 있는 K그리드 인재 창업 밸리를 조성해 전력 분야 인재를 세계적 수준으로 양성하겠다”며 “지역 에너지산업과 인재를 집적화해 어벤저스라 할 수 있는 K에너지 원팀을 만들어 선도국으로 가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를 통해 전력강국 지위를 확고히 하고, 전력 기술과 상품을 전 세계에 수출해 에너지 상품을 장차 제2반도체로 만들겠다는 것이 대통령 생각”이라며 “주민참여형 이익공유 모델을 적용해 주민들이 자신의 마을, 학교, 전기생산에 참여하는 에너지민주주의 모델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또 “단기 사업으로 끝나지 않게 RE100 산단 조성 비즈니스모델을 만들고 정주여건도 획기적으로 바꿔나가겠다”며 “지역주민들이 사업 추진 과정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주민참여 절차를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더불어 “마이크로 그리드 사업을 위해 2,000억 정도의 예산을 확보했고, 2026년 예산에 반영할 예정”이라며 “해당 예산으로 구상 중인 게 5~6개 사업 정도로, 철강공장과 석유화학공장, 대학 캠퍼스에 마이크로 그리드를 하나 만들고 공항형 그리드와 농공단지 그리드, 철강단지 등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한전에 큰 부담을 주지 않고 국가예산으로 시범사업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리드 사업이 발주되면 많은 스타트업이 참여할 거고, 에너지공대 쪽에서 인재가 모여 창업도 하고 자연스럽게 클러스터가 생길 수 있고 수출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남매일 1면, 2025. 8. 1(금) 서울=김현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