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띄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왼쪽메뉴 바로가기 메인 본문 바로가기

목포상공회의소

지역소식

공지사항 상세보기
제목 고령화 저출산 빨라지는 전남소멸 시계
작성자 박희영 작성일 2018.08.16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감소와 청년층 유출 영향으로 전남이 한반도 지도에서 완전히 사라질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전남은 전국 광역단체 가운데 유일하게 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됐으며 기초단체 중에서도 고흥군과 신안군 등이 조만간 사라질 초위험지역에 포함됐다.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연구위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한국의 지방소멸 2018’ 보고서를 13일 발표했다.

이 연구위원은 국가통계포털의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활용해 2013∼2018년 전국 228개 시군구와 3463개 읍면동의 소멸위험지수를 계산했다.  

소멸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가임여성인구(20~39세) 수를 같은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이다.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 즉 특정 지역의 노인 인구가 20, 30대 여성 인구의 두 배를 초과하는 곳을 인구 감소로 공동체 붕괴 위험이 있는 ‘소멸위험지역’으로 정의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지역은 2013년 75개(32.9%)에서 2018년 89개(39%)로 14개(6.1%p)증가했다. 

광역 자치단체 중에서는 전남이 소멸위험지수 0.47로 유일하게 소멸위험지구로 분류됐다. 

전남의 소멸위험지수는 2013년 0.55로 소멸 주의지역에 포함됐지만 올해는 0.47로 급락했다.

전남과 함께 올해 소멸위험지수가 높은 지역은 경북(0.55), 강원·전북(0.58)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낮은 지역은 세종(1.59), 울산(1.23), 경기(1.18) 등으로 조사됐다. 

광주의 소멸위험지수는 1.15로 2013년 1.51보다 하락해 소멸위험 보통 지역으로 분류됐다.

시군구로 세분화하면 소멸위험지구는 2013년 75개(32.9%)에서 올해 89개(39%)로 늘었다. 

전국 3463개 읍면동으로 보면 소멸위험지역은 2013년 1229개(35.5%)에서 2018년 1503개(43.4%)로 5년 사이에 274개(7.9%p)가 늘었다.  

전남 고흥, 신안군은 소멸지수가 0.1로 조만간 사라질 초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읍면동 수준의 소멸위험을 시도별로 살펴보면 전남 81.1%, 경북 76.8%, 전북 75.9%, 충남 70.2% 등의 순으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보고서에선 2013년~2017년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해 인구이동을 분석하기도 했다. 분석 결과 소멸위험 읍면동에서 26만2000명의 순유출이 발생했다.  

연령별 순유출을 보면 20대가 17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10만9000명)와 10대 이하(6만3000명)가 뒤를 이었다. 30대 이하의 순유출 인원만 합산하면 34만2000명에 이르는 셈이다.  

특히 20대의 경우 전체 이동 중 수도권으로의 유출이 37.4%를 차지했고, 50대는 소멸위험지역으로의 순유입 규모가 6만6000명이었다. 

귀농·귀촌 등 고령자의 인구 유입은 소멸위험지역의 인구감소를 억제하는데 기여하고 있지만, 인구유출의 흐름을 반전시키지는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연구위원은 “최근의 소멸위험지역은 도청 소재지, 산업도시, 광역대도시로 확산되는 양상이며, 최근 지방 제조업의 위기는 지역의 산업기반을 붕괴시키면서 지방의 인구 유출을 더욱 가속화했다”며 “지역균형발전 정책이 물리적 인프라(하드웨어) 중심의 혁신뿐만 아니라, 교육, 교통, 주거, 문화 등과 관련된 생활양식(소프트웨어)의 혁신이 이뤄질 수 있도록 획기적인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광남일보 2면 2018. 8. 14 이현규 기자

이전글, 다음글
김영록 지사 '오시아노 관광단지 방치 안타깝다'
고령화 저출산 빨라지는 전남소멸 시계
광주전남 내년도 국비 확보 '구슬땀'

목포상공회의소

(우)58754 전라남도 목포시 해안로173번길 29 (중동2가)

Copyright (c) 2017 mokpocci,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