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2일 ‘수정 경제전망’을 통홰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0.8%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내년에는 수출 부진에도 불구하고 내수가 완만하게 회복되면서 1.6%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우선 민간소비는 금리 하락세와 소비부양책 등으로 올해 하반기 이후 부진이 완화되면서 올해와 내년에 각각 1.3%, 1.5% 정도로 증가세가 확대된다고 밝혔다.
설비투자는 대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금리 하락세와 반도체경기 호조세가 유지돼 올해와 내년에 각각 1.8%, 1.6% 정도의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KDI는 0%대 성장률 전망을 유지한 주된 배경으로 건설투자 부진을 꼽았다.
상반기 건설투자가 기존 전망을 밑돈 상황에서 부동산 시장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상화가 지연돼 건설투자 회복이 지체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올해 건설투자 증가율(-8.1%)을 기존 전망보다 3.9%포인트(p) 하향 조정했다.
수출은 미국의 관세 인상에 따라 지난해(6.8%)에 비해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면서 올해와 내년에 각각 2.1%, 0.6% 정도 증가에 그칠 것으로 봤다.
경상수지는 올해 1천60억 달러, 내년 910억 달러 정도의 대규모 흑자를 예상했다.
글로벌 반도체경기 전제를 상향 조정하면서 수출 물량과 가격이 모두 개선됨에 따라 올해 경상수지 흑자폭을 140억달러 정도 상향 조정한 것이다.
다만 미국이 비교적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중국, 브라질, 인도 등과의 통상 갈등이 격화되면서 글로벌경기가 크게 둔화될 가능성이 존재하고 반도체 관세가 큰 폭으로 인상될 경우 우리 수출에도 작지 않은 하방 위험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유류세 및 공공요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수요 압력이 낮게 유지되면서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2.3%에서 올해와 내년에 각각 2.0%, 1.8% 정도로 상승세가 둔화될 전망이다.
수출 증가율(0.6%) 둔화 전망에도 건설투자(2.6%) 등 내수 부문이 반등하면서 전체 성장률을 보완한다는 것이 KDI의 설명이다.
인구 구조 변화와 낮은 경제 성장세로 인해 취업자 수 증가폭은 지난해 16만명에서 올해 15만명, 내년 11만명 정도로 축소되는 등 고용 시장은 악화할 것으로 예측했다.
남도일보 7면, 2025. 8. 13(수) 노정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