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띄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왼쪽메뉴 바로가기 메인 본문 바로가기

목포상공회의소

경영정보

공지사항 상세보기
제목 “광주·전남 기업, 중국 공급망 리스크 대비해야”
작성자 정성훈 작성일 2023.11.23

최근 중국의 공급망 리스크가 심화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광주·전남에서도 대 중국 주요 수입 품목에 대한 중국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무역협회 광주전남지역본부는 수입 의존도가 높은 품목에 대해 공급망 리스크 경감을 위한 기업·공공 분야의 관심 및 대응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22일 한국무역협회 광주전남지역본부가 발간한 ‘광주·전남지역의 대 중국 수입의존도 및 공급망 리스크에 관한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10월 기준 대 중국 수입 10대 품목 중 광주는 산업용 전기기기 등 7개 품목의 80% 이상을, 전남은 망간 등 7개 품목의 95% 이상을 각각 중국에서 수입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구체적으로 광주는 ▲직류전동기(3억4천100만달러·98%) ▲회전속도계(7천200만달러·98.6%) ▲스틸타이어코드(2천300만달러·100%) ▲에어컨 부분품(2천200만달러·81.5%)▲화이트카본(2천만달러·87%) ▲기타타이어(1천600만달러·100%) ▲화강암(1천500만달러·100%)의 중국 수입 비중이 높았다.

전남에선 희소 자원 망간(5천900만달러·95.2%)을 비롯해 ▲알류미늄 합금 기타(4천900만달러·92.5%) ▲텅스텐 가루(3천700만달러·100%)▲전해액(2천600만달러·100%) ▲에피클로로히드린(2천300만달러·100%) ▲전분박(2천100만달러·100%) ▲광전지(1천700만달러·100%) 등의 품목의 중국 의존도가 높았다.

1-9월 기준 광주·전남 수입 총액 중 중국의 비중은 각각 19%(2위), 3.5%(7위)로 제한적이나, 이 같이 주요 수입 품목별 중국 의존도는 높다는 점에서 차질은 불 보듯 뻔한 상황이다.

실제 한국무역협회 광주전남지역본부에서 10대 품목 수입 기업 측 22개사를 조사한 결과, 수입 대체 채널을 갖고 있는 기업은 45.5%에 불과했다.

‘수입 대체 채널이 없다’(27.3%), ‘수입 대체 채널을 알아보고 있다’(27.3%) 등 아직 명확한 대안이 없는 기업이 54.6%나 차지했다.

응답기업의 절반 이상은 중국 수입선의 리스크 가능성에 대한 자체적인 대응책으로, 대체수입선 발굴(54.5%)을 꼽았다. 별도의 대책이 없거나(18.2%), 재고량 비축으로 대응(18.2%)하는 경우도 다수였다.

10대 품목 수입 기업 10곳 중 7곳은 피해가 막대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으로부터 해당 품목 수입에 지장 발생 시, 77.2%의 기업이 수출·상품제조·매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다.

특히 이중 절반 이상인 54.5%는 예상되는 영향이 매우 심각함을 호소했다. 영향이 적거나 없다는 응답은 단 18.2%에 불과했다.

응답기업들이 관심 갖는 정부 지원제도 개선은 1위 ‘원부자재 수급비용 상승대비 금융·보증지원’였다. 이어 ▲수입관세의 인하 ▲국산화를 위한 R&D 지원 순이었다.

진형석 한국무역협회 광주전남지역본부 팀장은 “최근 몇 년간 발생한 요소수, 갈륨, 흑연 등의 수출통제는 핵심 원부자재 소싱처의 높은 중국 의존도가 심각한 리스크임을 보여준 바 있다”며 “당장 공급망 리스크가 보이지 않더라도, 단기·장기적으로 재고물량 관리, 대체시장 발굴 등의 노력을 선행하고, 공공에서도 우선관리품목들은 조사하는 등 정책적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광주매일신문 13면, 2023. 11. 23(목) 양시원 기자

이전글, 다음글
한은, 기준금리 3.50%p 동결 예상…내년 하반기 인하 전망
“광주·전남 기업, 중국 공급망 리스크 대비해야”
중대재해법 확대 적용 놓고 갈등…

목포상공회의소

(우)58754 전라남도 목포시 해안로173번길 29 (중동2가)

Copyright (c) 2017 mokpocci,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