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띄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왼쪽메뉴 바로가기 메인 본문 바로가기

목포상공회의소

지역경제동향

공지사항 상세보기
제목 광주·전남 9월 무역수지 13억 달러 흑자
작성자 정성훈 작성일 2025.10.16

지난 9월 광주·전남 지역 무역수지는 13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양호한 성적을 거뒀다.
광주는 반도체와 자동차 등 고부가가치 산업이 수출을 견인하며 높은 성장세를 보인 반면, 전남은 석유화학과 철강 등 전통 제조업 중심의 수출 구조가 글로벌 경기 둔화와 중국 수요 감소에 취약한 모습을 드러냈다.

15일 관세청이 발표한 9월 광주·전남 지역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9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7.2% 증가한 50억 8천만 달러, 수입은 1.7% 증가한 37억 9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광주 지역은 9월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43.5% 급증한 15억 6천만 달러를 기록하며 지역 수출을 견인했다. 수입은 37.9% 증가한 8억 3천만 달러로, 무역수지는 7억 3천만 달러 흑자를 달성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가 73.6% 급증하며 수출 증가를 주도했고, 수송장비도 49.6%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기계류와 정밀기기(14.3%), 가전제품(7.8%)도 증가세를 이어갔다. 다만 고무타이어 및 튜브는 20.3%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동남아 수출이 59.5% 급증했으며, 중남미(62.0%), 중국(45.5%), 유럽연합(30.2%), 미국(22.2%) 등 주요 교역국 대부분에서 증가세를 나타냈다. 특히 중국은 2개월 연속, 미국은 1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하며 긍정적 신호를 보였다.

반면 전남 지역은 9월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3.6% 감소한 35억 2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이 5.3% 감소한 29억 6천만 달러를 나타내며 무역수지는 5억 6천만 달러 흑자를 유지했다.

주요 수출품목인 석유제품이 6.1% 감소하며 전체 수출에 부담을 줬고, 수송장비도 28.8% 급감했다. 다만 화공품(6.1%), 철강제품(1.2%), 기계류와 정밀기기(50.9%)는 증가세를 보였다.

국가별로는 동남아(7.3%), 유럽연합(5.2%) 등으로의 수출은 증가했으나, 주요 교역국인 미국(12.2% 감소), 중국(3.2% 감소), 일본(10.9% 감소) 등에서 부진을 면치 못했다. 특히 중국은 9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수입에서는 원유(8.9% 감소), 석유제품(66.2% 감소), 철광(6.9% 감소), 석탄(6.7% 감소) 등 주요 원자재 수입이 줄었으며, 화공품만 25.0% 증가했다.


남도일보 6면, 2025. 10. 16(목) 노정훈 기자

 

이전글, 다음글
광주·전남 9월 무역수지 13억 달러 흑자
광주, 무역 다변화를…전남 무역수지 흑자 속 부진

목포상공회의소

(우)58754 전라남도 목포시 해안로173번길 29 (중동2가)

Copyright (c) 2017 mokpocci, All Right Reserved.